앤드리아 M. 게즈

앤드리아 M. 게즈
Andrea M. Ghez
2019년 4월
2019년 4월
출생 1965년 6월 16일(1965-06-16)(58세)
뉴욕
국적 미국
주요 업적 초대질량 블랙홀 발견
수상
분야 천문학
소속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앤드리아 미아 게즈(영어: Andrea Mia Ghez, 1965년 6월 16일 ~ )는 미국천문학자이다. 2020년에 우리은하의 중심에서 초대질량 블랙홀을 발견한 공로로 로저 펜로즈, 라인하르트 겐첼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

수상 경력

저서

  • Ghez, Andrea M.; Neugebauer, Gerry; Matthews, K. (1993). “The Multiplicity of T Tauri Stars in the Taurus-Auriga & Ophiuchus-Scorpius Star Forming Regions: A 2.2 micron Imaging Survey” (PDF). 《Astronomical Journal》 106: 2005–2023. Bibcode:1993AJ....106.2005G. doi:10.1086/116782. 
  • Ghez, Andrea M.; White, Russel J.; Simon, M. (1997). “High Spatial Resolution Imaging of Pre-Main Sequence Binary Stars: Resol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ks and Close Companions”. 《Astrophysical Journal》 490 (1): 353–367. Bibcode:1997ApJ...490..353G. doi:10.1086/304856. 
  • Ghez, Andrea M.; Klein, B. L.; Morris, M.; Becklin, E.E. (1998). “High Proper Motions in the Vicinity of Sgr A*: Evidence for a Massive Central Black Hole”. 《Astrophysical Journal》 509 (2): 678–686. arXiv:astro-ph/9807210. Bibcode:1998ApJ...509..678G. doi:10.1086/306528. S2CID 18243528. 
  • Ghez, A. M.; Morris, M.; Becklin, E. E.; Tanner, A.; Kremenek, T. (2000). “The Accelerations of Stars Orbiting the Milky Way's Central Black Hole”. 《Nature》 407 (6802): 349–351. arXiv:astro-ph/0009339. Bibcode:2000Natur.407..349G. doi:10.1038/35030032. PMID 11014184. S2CID 312384. 
  • Ghez, A. M.; Duchêne, G.; Matthews, K.; Hornstein, S. D.; Tanner, A.; Larkin, J.; Morris, M.; Becklin, E. E.; S. Salim (2003년 1월 1일). “The First Measurement of Spectral Lines in a Short-Period Star Bound to the Galaxy's Central Black Hole: A Paradox of Youth”.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영어) 586 (2): L127. arXiv:astro-ph/0302299. Bibcode:2003ApJ...586L.127G. doi:10.1086/374804. S2CID 11388341. 
  • Ghez, A. M.; Salim, S.; Weinberg, N. N.; Lu, J. R.; Do, T.; Dunn, J. K.; Matthews, K.; Morris, M. R.; Yelda, S. (2008년 1월 1일). “Measuring Distance and Properties of the Milky Way's Central Supermassive Black Hole with Stellar Orbits”. 《Astrophysical Journal》 (영어) 689 (2): 1044–1062. arXiv:0808.2870. Bibcode:2008ApJ...689.1044G. doi:10.1086/592738. S2CID 18335611. 

같이 보기

각주

  1. “Press release: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20”. Nobel Foundation. 2020년 10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 (영어) 게즈 - UCLA 홈페이지
  • (영어) Andrea Ghez, Astronomy / UCLA Spotlight
  • (영어) UCLA Faculty Research Lecture: Unveiling a Black Hole at the Center of the Milky Way
  • Finkbeiner, Ann (2013년 3월 20일), “As an early adopter of astronomical technology, Andrea Ghez is revealing secrets about the giant black hole at the Galaxy's centre”, 《Nature495 (7441): 296–8, Bibcode:2013Natur.495..296F, doi:10.1038/495296a, PMID 23518544 
  • (영어) Andrea Ghez - TED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v
  • t
  • e
경제학상 | 문학상 | 물리학상 | 생리학·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
1901-19251926-1950
1951-19751976-2000
2001-현재
  •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 노벨 물리학상
  • v
  • t
  • e
←  2020년 노벨상 수상자  →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학·의학상
문학상
평화상
경제학상
전거 통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제
  • FAST
  • ISNI
  • VIAF
  • 월드캣
국가
  • 노르웨이
  • 독일
  • 미국
  • 체코
  • 한국
  • 폴란드
학술
  • 수학 계보 프로젝트
  • ORC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