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아마추어 월드 시리즈

제27회 세계야구선수권대회(1982 Amateur World Series, 1982년 아마추어 월드 시리즈)는 1982년 9월 4일부터 9월 14일까지 서울 잠실야구장동대문야구장, 숭의야구장에서 열렸다. 10개국이 참가하여 풀 리그 방식으로 11일 동안 경기를 벌인 결과,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이 첫 우승을 차지했는데 대부분 선수들이 해당 대회 우승을 통해 1980년 준우승에 이어 두 번째 병역특례 혜택을 받았다[1].

경기 결과

1일째 (9월 4일)

1일째 경기 결과
  • 15:0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이탈리아 0 0 0 0 0 0 2 0 0 2
대한민국 0 0 0 1 0 0 0 0 0 1
  • 16:30, 동대문
파나마 파나마중화민국중화민국간의 경기는 9월 12일 10:30으로 연기되었다.
  • 18:3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캐나다 0 0 0 0 0 1 0 0 0 1
미국 0 0 0 0 0 0 0 0 0 0

2일째 (9월 5일)

2일째 경기 결과
  • 13:0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득점
이탈리아 0 0 0 0 0 0 0 0 0 0
중화민국 중화민국 0 0 0 1 0 1 0 0 X 2
  • 14:30, 인천
1 2 3 4 5 6 7 8 9 득점
오스트레일리아 0 0 0 0 0 0 1 0 0 1
일본 1 0 0 1 1 0 3 1 X 7
  • 15:0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미국 1 0 0 0 0 0 0 0 0 1
대한민국 0 0 1 0 1 0 0 0 X 2

승리투수 : 선동열

  • 선동열, 선발투수로 등판하여 5피안타 탈삼진 15개를 기록하며 완투.
  • 16:3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득점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3 3 1 1 3 3 0 4 18
캐나다 1 2 3 0 0 0 2 0 8
  • 8회 콜드 게임
  • 18:3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파나마 파나마 0 0 0 0 2 2 1 0 0 5
네덜란드 2 0 0 1 2 0 0 0 1 6

3일째 (9월 6일)

3일째 경기 결과
  • 13:0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득점
미국 1 2 2 0 5 1 3 14
오스트레일리아 0 0 1 0 0 3 0 4
  • 7회 콜드 게임
  • 14:30, 인천
1 2 3 4 5 6 7 8 9 득점
대한민국 2 4 1 2 0 0 2 11
네덜란드 0 0 0 0 0 0 0 0

승리투수 : 오영일
홈런 : 김재박(2회 2점), 이해창(4회 2점)

  • 7회 콜드 게임
  • 15:0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파나마 파나마 0 0 0 0 0 1 0 2 0 3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0 0 0 0 0 0 0 2 0 2
  • 16:3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득점
캐나다 1 2 1 0 1 0 3 3 0 11
중화민국 중화민국 1 6 3 1 0 0 5 1 X 17
  • 18:3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일본 0 0 1 0 0 0 1 0 0 2
이탈리아 0 0 0 1 1 0 0 1 X 3

4일째 (9월 7일)

4일째 경기 결과
  • 13:0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10 득점
이탈리아 2 0 8 0 0 0 0 0 1 0 11
네덜란드 2 0 1 0 2 0 3 0 3 1 12
  • 15:0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중화민국 중화민국 0 1 0 0 1 0 0 0 0 2
일본 0 0 0 0 0 1 0 2 X 3
  • 16:3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득점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1 0 0 0 0 0 0 0 0 1
미국 0 1 0 3 0 1 0 0 X 5
  • 18:30, 잠실
1 2 3 4 5 6 7 8 9 10 득점
캐나다 0 4 0 0 0 0 0 0 0 3 7
오스트레일리아 0 2 0 1 0 0 0 0 1 0 4

5일째 (9월 8일)

5일째 경기 결과
  • 13:0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득점
일본 1 0 0 1 2 0 0 2 0 6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0 0 0 0 1 0 0 1 1 3
  • 14:30, 인천
1 2 3 4 5 6 7 8 9 득점
파나마 파나마 0 1 0 4 0 0 0 1 0 6
미국 0 0 0 1 0 0 2 0 4 7
  • 15:0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네덜란드 0 0 0 1 0 0 0 1 0 2
오스트레일리아 0 5 0 0 0 1 0 0 X 6
  • 16:3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득점
이탈리아 0 0 0 0 4 0 0 2 0 6
캐나다 1 0 0 0 2 4 2 1 X 10
  • 18:3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대한민국 1 0 1 2 0 0 1 1 0 6
중화민국 중화민국 0 0 0 0 0 0 0 0 0 0

승리투수 : 선동열
홈런 : 한대화(8회 1점)

  • 선동열, 선발투수로 등판하여 5피안타 8탈삼진으로 완봉승을 기록.

7일째 (9월 10일)

7일째 경기 결과
  • 13:0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득점
일본 2 0 5 3 0 0 1 1 6 18
캐나다 1 0 0 0 0 1 3 0 2 7
  • 14:30, 인천
1 2 3 4 5 6 7 8 9 득점
중화민국 중화민국 0 7 0 0 0 0 0 3 1 11
오스트레일리아 0 3 0 0 3 0 0 2 0 8
  • 15:0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네덜란드 0 0 2 0 0 1 0 0 0 3
미국 0 3 4 0 0 0 4 0 X 11
  • 16:3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득점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4 0 0 0 0 0 1 0 1 6
이탈리아 0 2 0 3 0 0 0 0 0 5
  • 18:3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대한민국 0 0 1 2 1 0 0 0 0 4
파나마 파나마 1 0 0 0 0 0 0 1 0 2

승리투수 : 최동원

8일째 (9월 11일)

8일째 경기 결과
  • 13:0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득점
오스트레일리아 0 0 0 0 0 1 3 0 1 5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1 0 1 1 0 3 2 2 X 10
  • 14:30, 인천
1 2 3 4 5 6 7 8 9 득점
이탈리아 1 1 0 0 0 0 1 1 0 4
파나마 파나마 5 0 0 0 0 2 1 0 X 8
  • 15:0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캐나다 0 0 0 0 0 0 0 1 0 1
대한민국 1 0 0 0 2 0 1 1 X 5

홈런 : 유두열(8회 1점)

  • 16:3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득점
네덜란드 0 0 0 0 4 0 0 0 0 4
중화민국 중화민국 2 1 2 0 1 0 0 0 X 6
  • 18:3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미국 0 1 0 0 0 0 0 0 0 1
일본 3 0 0 0 0 1 0 0 X 4

9일째 (9월 12일)

9일째 경기 결과
  • 10:30, 잠실
1 2 3 4 5 6 7 8 9 10 11 득점
중화민국 중화민국 0 1 0 0 0 2 0 0 0 0 1 4
파나마 파나마 0 0 0 1 2 0 0 0 0 0 0 3
  • 13:0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득점
오스트레일리아 3 0 1 1 0 0 0 0 1 6
이탈리아 0 0 0 0 0 1 1 0 2 4
  • 15:0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캐나다 0 0 2 0 0 0 0 0 0 2
파나마 파나마 0 0 0 0 0 0 0 0 0 0
  • 16:3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득점
일본 0 2 0 0 1 2 0 0 0 5
네덜란드 0 0 0 0 0 0 0 0 0 0
  • 18:3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대한민국 0 0 1 0 1 0 0 0 1 3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0 0 0 0 0 0 0 0 0 0

승리투수 : 박동수

10일째 (9월 13일)

10일째 경기 결과
  • 13:0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득점
파나마 파나마 0 2 0 0 0 0 0 0 0 2
일본 0 2 0 0 0 2 0 3 X 7
  • 14:30, 인천
1 2 3 4 5 6 7 8 9 득점
네덜란드 0 0 3 0 0 0 0 1 0 4
캐나다 4 1 0 0 1 2 0 0 X 8
  • 15:00, 잠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득점
오스트레일리아 0 0 0 0 5 0 0 1 0 0 0 0 0 0 0 6
대한민국 0 1 2 0 0 0 0 2 1 0 0 0 0 0 1 7

승리투수 : 임호균
홈런 : 유두열(2회 1점), 이해창(3회 2점)

  • 16:30, 동대문
1 2 3 4 5 6 7 8 9 득점
미국 5 0 0 4 2 0 2 13
이탈리아 0 0 0 2 0 0 0 2
  • 7회 콜드 게임
  • 18:3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0 0 1 0 0 0 0 0 0 1
중화민국 중화민국 0 0 1 0 0 1 0 1 X 3

11일째 (9월 14일)

11일째 경기 결과
  • 13:00, 동대문

네덜란드 W-L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 15:00, 잠실

중화민국 중화민국 L-W 미국

  • 16:30, 동대문

파나마 파나마 W-L 오스트레일리아

  • 18:30, 잠실
1 2 3 4 5 6 7 8 9 득점
일본 0 2 0 0 0 0 0 0 0 2
대한민국 0 0 0 0 0 0 0 5 X 5

승리투수 : 선동열
홈런 : 한대화(8회 3점)

대회 결과

최종 순위

순위 국가 승리 패배
1 대한민국 8 1
2 일본 7 2
3 미국 6 3
4 중화민국 중화민국 6 3
5 캐나다 5 4
6 네덜란드 3 6
7 파나마 파나마 3 6
8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3 6
9 오스트레일리아 2 7
10 이탈리아 2 7

개인상 수상자 명단

부문 수상자 포지션 비고
최우수선수 대한민국 선동열 투수 -
타격 중화민국 자오스창 우익수 32타수 17안타 타율 0.531
방어율 우수투수 대한민국 임호균 투수 평균자책 0.00
최다 승리투수 대한민국 선동열 투수 3승 0패
최다타점 일본 다케스에 지명타자 18타점
최다홈런 일본 다케스에 지명타자 4홈런
최다도루 일본 고바야시 좌익수 7도루
최다득점 미국 2루수 10득점

대회 올스타

포지션 선수
투수 (우완) 대한민국 선동열
투수 (좌완) 캐나다 롭 헤이슬러
포수 캐나다 래리 다운즈
1루수 이탈리아 에도를도 오리치
2루수 네덜란드 샤를레스 우르바너스
3루수 중화민국 린화웨이
유격수 대한민국 김재박
좌익수 미국 조던 버그
중견수 캐나다 덕 맥페일
우익수 중화민국 자오스창
지명타자 일본 다케스에 쿠니치

각주

  1. 신명철 (2018년 6월 14일). “운동선수 병역 혜택도 줄 잘 서야? 1980년대에 병역 특례 혜택 받은 야구 선수들”. 스포티비뉴스. 2018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v
  • t
  • e
  • 1938년
  • 1939년
  • 1940년
  • 1941년
  • 1942년
  • 1943년
  • 1944년
  • 1945년
  • 1947년
  • 1948년
  • 1951년
  • 1950년
  • 1952년
  • 1953년
  • 1961년
  • 1965년
  • 1969년
  • 1970년
  • 1971년
  • 1972년
  • 1973년 (쿠바)
  • 1973년 (니카라과)
  • 1974년
  • 1976년
  • 1978년
  • 1980년
  • 1982년
  • 1984년
  • 1986년
  • 1988년
  • 1990년
  • 1994년
  • 1998년
  • 2001년
  • 2003년
  • 2005년
  • 2007년
  • 2009년
  • 2011년
  • v
  • t
  • e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1982년 야구 월드컵 우승
감독 어우홍

코치 배성서  · 김충
투수 김시진  · 박동수  · 박노준  · 선동열  · 오영일  · 임호균  · 최동원
포수 김진우  · 심재원  · 한문연
내야수 정구선  · 김재박  · 박영태  · 이석규  · 이선웅  · 한대화

외야수 김정수  · 유두열  · 이해창  · 장효조  · 조성옥
  • v
  • t
  • e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
국가급
종합경기대회
올림픽
패럴림픽
아시안 게임
동아시안 게임
유니버시아드
세계 군인 체육 대회
스페셜 올림픽
시각 장애인 경기대회
  • 2015년 세계 시각 장애인 경기대회
세계 사회 체육 대회
  • 2008년 세계 사회 체육 대회
개별경기대회
동계스포츠
수영
야구
역도
육상
축구
태권도
핸드볼
양궁
  • 1985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 2009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사격
농구
  • 1965년 ABC 아시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 1967년 ABC 아시아 남자 농구 선수권 대회
  • 1974년 ABC 아시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 1979넌 FIBA 세게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 1992년 ABC 아시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 1995년 ABC 아시아 남자 농구 선수권 대회
  • 2007년 FIBA 아시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배구
비치발리볼
  • 2016년 하계 올림픽 비치발리볼 아시아 지역 2차예선
펜싱
  • 1999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 2006년 세계 주니어 펜싱 선수권 대회
권투
검도
  • 1988년 세계 검도 선수권 대회
  • 2018년 세계 검도 선수권 대회
삼보
체조
  • 2016년 세계 에어로빅 체조 선수권 대회
조정
바둑
  • 2014년 세계 아마추어 바둑 선수권 대회
필드하키
  • 1985년 아시아 여자 하키 선수권 대회
  • 1997년 여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
정구
  • 1979년 세계 정구 선수권 대회
  • 1987년 세계 정구 선수권 대회
  • 1991년 세계 정구 선수권 대회
  • 2007년 세계 정구 선수권 대회
  • 2011년 세계 정구 선수권 대회
유도
  • 1974년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
  • 2003년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
  • 2008년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
검도
  • 2018년 세계 검도 선수권 대회
탁구
프로급
골프
  • SK텔레콤 오픈
  • 코오롱 한국오픈
  • GS칼텍스 매경오픈
  •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모터스포츠
야구
육상
자전거
축구
테니스
| 그리스

| 노르웨이 | 러시아 | 독일 | 스위스 | 영국 | 이탈리아 | 프랑스 | 폴란드 | 스페인 | 튀르키예 | 크로아티아



| 대한민국 | 베트남 | 사우디아라비아 | 아랍에미리트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중화인민공화국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태국 | 오스트레일리아 | 우즈베키스탄 | 필리핀


미국 | 캐나다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콜롬비아 | 멕시코


남아프리카 공화국 | 모로코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 개최국: v  d  e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