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동계 올림픽 크로아티아 선수단

올림픽 크로아티아 선수단

크로아티아의 국기

IOC 코드 CRO
NOC 크로아티아 올림픽 위원회
공식 웹사이트
2022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참가 선수 11명 (남자: 4명, 여자: 7명)
참가 종목 4개 종목
기수 즈린카 류티치
마르코 스켄데르
메달 집계 금메달
0
은메달
0
동메달
0
합계
0
역대 선수단
하계 올림픽
동계 올림픽
하계 청소년 올림픽
  • 2010
  • 2014
  • 2018
동계 청소년 올림픽
  • 2012
  • 2016
  • 2020
  • 2024
관련 참가국
오스트리아 (1900)
유고슬라비아 (1920-1988)
올림픽 크로아티아 선수단

2022년 동계 올림픽 크로아티아 선수단은 2022년 2월 4일부터 2월 20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202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올림픽 크로아티아 선수단이다.[1][2]

이번 대회에서 크로아티아는 남자 4인, 여자 7인에 총 11인의 선수를 출전시킨다.[3] 개막식 선수단 입장시 기수는 즈린카 류티치와 마르코 스켄데르가 맡았다.[4]

참가 규모

다음은 이번 대회의 종목별 참가 선수 규모이다.

종목 남자 여자 총합
쇼트트랙 0 1 1
스노보드 0 1 1
알파인스키 3 3 6
크로스컨트리 1 2 3
총합 4 7 11

쇼트트랙

쇼트트랙 종목에서 크로아티아는 여자 1인의 출전권을 확보하였다.[5] 크로아티아의 쇼트트랙 출전은 이번 대회가 처음이다.[6]

2022년 1월 18일 발렌티나 아슈치치가 국가대표로 선발되었으며, 1500m 종목에서 재조정 절차를 거쳐 추가 참여 기회를 획득하여 경기에 나서게 되었다.[7]

선수 종목 예선 준준결승 준결승 결승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발렌티나 아슈치치 여자 500m 44.681 3 진출 실패 23
여자 1500m 빈칸 2:21.456 5 진출 실패 26

스노보드

스노보드 종목에서 크로아티아는 여자 1인의 출전권을 확보하였으며, 여자 빅에어와 슬로프스타일 종목에 참가한다. 크로아티아의 스노보드 종목 참가는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이후 두번째이다.[7]

프리스타일

선수 종목 예선 결승
1차 2차 최고점수 순위 1차 2차 3차 최고점수 순위
레아 유고바츠 여자 빅에어 9.25 15.00 10.00 24.25 28 진출 실패
여자 슬로프스타일 DNS 진출 실패

알파인스키

알파인스키 종목에서 크로아티아는 남자 3인, 여자 2인의 출전권을 확보하였으며, 재조정 절차를 거쳐 여자 1인의 출전권을 추가로 확보하였다. 단체 종목에도 출전자격을 확보하였으나 참가하지는 않았다.[8][7]

선수 종목 1차 시도 2차 시도 종합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사무엘 콜레가 남자 대회전 1:06.53 24 1:10.75 23 2:17.28 21
필리프 주브치치 1:04.69 15 1:07.40 9 2:12.09 10
사무엘 콜레가 남자 회전 55.54 18 50.53 6 50.53 15
마테이 비도비치 56.57 26 50.79 14 1:47.36 20
필리프 주브치치 55.79 21 50.89 17 1:46.68 18
안드레아 콤시치 여자 대회전 DNS 진출 실패
즈린카 류티치 1:02.50 35 1:01.27 27 2:03.77 28
안드레아 콤시치 여자 회전 DNF 진출 실패
즈린카 류티치 55.03 26 53.88 23 1:48.91 25
레오나 포포비치 55.31 30 53.11 12 1:48.42 23

크로스컨트리

크로스컨트리 종목에서 크로아티아는 기본 예선기준을 충족하여 남자 1인, 여자 1인의 출전권을 확보하였다. 이후 2021년 12월 11일 국가랭킹에서 33위에 올라 여자선수 1명의 출전권을 추가로 확보하게 되었다.[9][7]

거리종목
선수 종목 클래식 프리 종합
시간 감점 순위
마르코 스켄데르 남자 15km 클래식 48:30.8 +10:36.0 85
남자 50km 프리스타일 1:30:34.5 +19:01.8 57
테나 하지치 여자 10km 클래식 36:27.5 +8:21.2 83
베드라나 말레치 여자 10km 클래식 34:31.6 +6:25.3 73
여자 30km 프리스타일
스프린트
선수 종목 예선 준준결선 준결선 결선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마르코 스켄데르 남자 스프린트 3:06.86 69 진출 실패
테나 하지치 여자 스프린트 3:45.60 71 진출 실패
베드라나 말레치 3:33.12 53 진출 실패
테나 하지치
베드라나 말레치
여자 단체 스프린트 빈칸 26:29.23 10 진출 실패 20

각주

  1. “NOCs List Beijing 2022”. 《www.olympics.com/》.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22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26일에 확인함. 
  2. “Which countries are competing in the Winter Olympics 2022? Full list”. 《The Independent》 (London, United Kingdom). 2022년 2월 4일. 2022년 2월 16일에 확인함. 
  3. “11 athletes to represent Croatia at Winter Olympics”. 《www.croatiaweek.com/》. Croatia Week. 2022년 1월 24일. 2022년 1월 24일에 확인함. 
  4. “Beijing-2022 Opening Ceremony Flag-Bearers”. 《www.olympics.com/》.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OC). 2022년 2월 4일. 2022년 2월 4일에 확인함. 
  5. “Communication 2442: XXIV Olympic Winter Games 2022 Beijing Qualified quota places Short Track Speed Skating”. 국제빙상연맹. 2021년 12월 9일.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6. Buškulić, Ante (2021년 12월 9일). “Povijesni uspjeh: Hrvatska će prvi put imati brzu klizačicu na Zimskim olimpijskim igrama!” [Historical success: Croatia will have a speed skater for the first time at the Winter Olympics!]. 《www.24sata.hr/》 (크로아티아어). 24sata.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7. “Za ZOI u Pekingu Hrvatska ima još dvije olimpijske norme - u snowboardu i ženskom skijanju, ukupno 11” [For the Winter Olympics in Beijing, Croatia has two more Olympic norms - in snowboarding and women's skiing, a total of 11]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 올림픽 위원회. 2022년 1월 18일. 2022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21일에 확인함. 
  8. “ALPINE SKIING QUOTAS LIST FOR OLYMPIC WINTER GAMES 2022”. 《www.data.fis-ski.com/》. 국제 스키 연맹 (FIS). 2021년 6월 15일. 2021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일에 확인함. 
  9. “CROSS-COUNTRY QUOTAS LIST FOR OLYMPIC WINTER GAMES 2022”. 《www.data.fis-ski.com/》. 국제스키연맹 (FIS). 2021년 6월 15일. 2021년 5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 (영어) 2022년 동계 올림픽 크로아티아 선수단 Archived 2022년 2월 26일 - 웨이백 머신 - Olympics.com
  • v
  • t
  • e
아메리카
  • 멕시코
  • 미국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볼리비아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콜롬비아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페루
  • 푸에르토리코
아시아
아프리카
  • 가나
  • 나이지리아
  • 마다가스카르
  • 모로코
  • 에리트레아
오세아니아
  • 뉴질랜드
  • 아메리칸사모아
  •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스라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기타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