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N httpd

CERN httpd
원저자팀 버너스리,
Ari Luotonen,
Henrik Frystyk Nielsen
개발자CERN / W3C
발표일1990년 12월 24일(33년 전)(1990-12-24)
최종 버전
3.0A / 1996년 7월 15일(27년 전)(1996-07-15)[1]
운영 체제유닉스, 유닉스 계열
언어C
종류웹 서버, 프록시 서버
라이선스MIT Copyright Statement with acknowledgement to CERN
웹사이트www.w3.org/Daemon/

CERN httpd 또는 W3C httpd는 초기의, 지금은 개발이 중단된 웹 서버(HTTP) 데몬으로,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가 1990년부터 팀 버너스리 등에 의해 개발한 것이다.[1] C 언어로 구현되어 있으며 최초의 웹 서버 소프트웨어이다.[2]

역사

CERN httpd는 원래 NeXTSTEP을 구동하는 NeXT 컴퓨터에서 개발되었다가 나중에 다른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 OpenVMS, 그리고 유닉스 에뮬레이션 계층이 있는 시스템(예: emx+gcc가 있는 OS/2)에 이식되었다. 웹 프록시 서버로도 구성이 가능했다.[1][2] Version 0.1 was released in June 1991.[3]

같이 보기

각주

  1. Official CERN httpd page
  2. The Server Guide: CERN httpd 보관됨 16 11월 2009 - 웨이백 머신
  3. Change History for httpd

외부 링크

  • The historic W3C page for httpd
  • The historic web site in the W3C archive of November 1992
  • CERN republished her first website.
  • v
  • t
  • e
비교
가장 대중적인 소프트웨어
기타
과거
  • v
  • t
  • e
제품 및 표준
권고
참고
  • XAdES
  • XHTML+SMIL
  • XUP
작업 중인 초안
  • CCXML
  • CURIE
  • EME
  • InkML
  • MSE
  • RIF
  • SMIL 타임시트
  • sXBL
  • WICD
  • XFDL
  • XFrames
  • XBL
  • XMLHttpRequest
가이드라인
이니셔티브
과거
조직
  • Advisory Committee (AC)
  • 월드 와이드 웹 재단
선출된 그룹
  • Advisory Board (AB)
  • 테크니컬 아키텍처 그룹(TAG)
워킹 그룹
  • CSS
  • HTML
  • 지오로케이션
  • 소셜 웹
  • SVG
  • WHATWG
  • 웹 플랫폼
폐쇄된 그룹
  •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DDWG)
  • WebOnt
소프트웨어
브라우저
  • 라인 모드 (1990-)
  • 아레나 (1993-98)
  • 아고라 (1994-97)
  • 아르고 (1994-97)
  • 어마야 (브라우저/편집기, 1996-2012)
콘퍼런스
  • 국제 월드 와이드 웹 콘퍼런스 (IW3C)
    • 운영 위원회 (IW3C2)
    • 최초의 콘퍼런스 ("WWW1", 1994)